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54

ENFJ 기획자의 직업 적성 이야기 나는 서비스 기획자다. 특별히 기획자의 길을 가야겠다는 어떤 멋진 동기를 가지고 이 직업을 선택한 것은 아니었다. 학교를 졸업할 시기가 와서 인턴, 계약직을 전전하다 전공을 살려서? 건설사에 취업을 했다. 전공을 살린 취업에 큰 실망을 하고 나는 전업을 하게 되었다. 기획자를 선택한 건 나름 최선의 선택이었다. 그리고 현재는 기획자라는 직업에 대해 만족스러움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그 직업으로 나름의 철학도 가지고 있다. 뭐 이렇게 된 거 기획자로 계속 커리어를 쌓을 생각도 있다. 중요한 건 나의 성향과 성격이 기획자가 생각보다 잘 맞는다는 것이다. 나는 ENFJ다. 이상주의 자면서 계획적이다. 이상주의적인 나의 성격은 사실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가 무수하게 나온다.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2023. 1. 11.
상사에게 안좋은(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았을 때 - 부와 성공을 부르는 12가지 원칙 12 1/2 부와 성공을 부르는 12가지 원칙 예약판매에서 24시간 만에 100만 부가 넘게 팔려 전 세계 출판업계를 놀라게 한 게리 바이너척의 《Twelve and a Half》가 드디어 우리나라에서 출간되었습니다. 《크러싱 잇! SNS로 부자가 된 사람들》 《크러쉬 잇! SNS로 열정을 돈으로 바꿔라》로 SNS 마케팅과 트렌드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하던 게리가 그의 부와 성공을 가능하게 만들어 준 12가지 원칙을 통해 삶의 진정한 행복을 전해 드립니다. 이 책에서는 비즈니스의 성공을 위한 기술적인 방법(Hard Skill)이 아닌 삶을 대하는 자세(Soft Skill)가 중요한 이유와 소프트 스킬을 삶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면서 독자들이 조금 더 나답게, 더 오래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 2023. 1. 10.
장래희망을 만드는 방법 최근 읽은 책에서 저자님이 강연회를 갔다가 관객들에게 장래희망에 대한 질문을 들었대요. 그래서 저는 '나에게도 과연 장래희망이 있었나?'라는 생각을 해봤어요. 생각을 해보니깐 저는 하고싶은 일과 장래희망이 있더라고요. 저는 대학시절에 종교 동아리에 가입해서 활동을 한 적이 있어요. 종교 단체의 특성상 인간의 본질적인 물음을 자주 해요. 그렇다 보면 더 오래 활동한 선배나 또는 멘토를 만나 삶의 방향성을 잡곤 했죠. 이런 활동이 제 삶에 영향을 준 부분은 저 또한 그렇게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것이었어요. 누군가 저에게 장래희망을 묻는다면 저는 거리낌 없이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이 되고싶다는 것이에요. 중요한 건 어떤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주고 싶은지가 필요하더라고요... 2023. 1. 7.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 나 스스로를 사랑하고 소중히 여기는 저만의 방법이 있어요. 이 방법은 제가 사용했던 방법인데요. 여러분도 적용을 해보신다면 분명 조금은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해요. 자신을 사랑하고 소중히 여기는 방법은 바로 mbti를 활용하는 방법이에요. 성격유형검사 가령 저는 enfj의 성향을 가지고 있어요. 외향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하면서 공감능력을 가지고 있고 계획적이에요. 이처럼 본인 스스로를 객관화해보세요. 단순히 설문조사를 신뢰한다는 개념이 아니라 객관화하는데에 이 mbti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지요. 조사를 하다보면 인정하지 못하는 부분들이 있을 수 있어요. 하지만, 그런 부분에 메몰 돼서 나의 객관화된 장점과 본인의 능력을 무시해서는 안 되는 것이지요. 객관적인 데이터 중요한 건 검사를 통해서 알게 된 장점을.. 2023. 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