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54 갓생 사는 30대 외벌이 남편 나는 갓생을 살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나는 아내와 동반 퇴사를 해서 창업을 준비했다. 여행도 떠났다. 콘텐츠를 생산하면서 디지털크리에이터로서의 삶을 살아보기도 했다. 물론, 모든 것이 다 잘 돼서 원했던 목표를 이룬 것은 아니다. 만드는 콘텐츠는 대중에게 반응이 별로 없었다. 창업은 1차 통과 후 교육을 듣고 2차 심사에서 탈락했다. 그렇게 다양한 것들을 시도해봤다. 지금도 나는 다양한 것들을 시도 중이다. 퇴사 후에 다시 재 취업을 했지만, 취업을 하고 나서도 계속해서 갓생을 살기 위해 독서와 글쓰기를 멈추지 않는다. 새해를 맞이해서 계획표를 다시 작성하고 그 과정에서 보람을 느끼곤 했다. 새해 시작 이후 보름이 지났지만, 나름 괜찮은 갓생을 살아내고 있다고 자부한다. 작년 초에는 맞벌이를 했고.. 2023. 1. 17. 30대 외벌이 남편의 주간 가계부 (1월 2주차) 1월 16일이 되었다. 2023년 한 해를 시작한 지 보름이 넘어갔다. 새 해 시작을 하면서 신년 계획을 세웠다. 나도 엑셀 시트로 계획표를 세웠던 것 같다. 올 한 해 여러 목표가 있지만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에 좀 더 집중을 할 것 같다. 지난 2022년 나는 아내와 동반 퇴사를 했다. 그리고 2022년 말에 새로운 직장에 들어갔다. 그리고 나는 외벌이 30대 남편이 되었다. 나는 올해부터 외벌이 30대 남편의 가계부를 올려볼까 한다. 1월 10일이 나의 월급날이다. 이번에 받은 월급은 한 달 꼬박 일해서 받은 월급이라 이때부터 우리는 통장을 나누고 돈 관리를 정식으로 할 수 있었다. 나 또한 월급에서 나에게 받은 일부 용돈만을 가지고 생활을 할 수 있었다. 나의 한 달 용돈은 15만원이다. 이 돈에는.. 2023. 1. 16. 인생을 망치는 나쁜 절약습관 3가지 사회 초년생이 되면 부모님으로부터 받던 용돈에서 벗어나 본인 스스로 꾸준히 소득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부터 누구나 해야 하는 것 중에 하나는 지출 통제다. 간혹 이 지출통제 훈련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 본인의 소득에 맞지 않은 지출을 하는 경우도 있다. 하우스 푸어, 카 푸어 등 이런 신조어들이 분명 지출통제를 제대로 못한 사회초년생 시절의 잘못된 소비 패턴으로 인해 발생된 부분일 수 있다. 절약은 사회초년생이 대기업을 가든, 중견기업을 가든, 공기업, 공무원이 되든 분명히 필요한 훈련이라고 생각된다. 부자가 아닌 이상 어떤 사람이 든 간에 돈은 유한하기 때문이다. 절약, 지출 통제는 돈의 가치를 알아가는 과정이자 부자가 되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난 지출통제, 절약에 대해서 이야기를 .. 2023. 1. 16. 실 거주라면 지금이라도 내 집 마련해야 합니다. 금리가 오르고 집 값이 떨어진다는 뉴스 기사가 나오고 있어요. 이런 뉴스 기사가 사람을 자꾸 소극적으로 만들어요. 그런데 한 번 생각해 볼게요. 내가 거주할 만한 집이라면 왜 지금 사면 안될까요? 집 값이 떨어지면 오히려 구입해야 되는 시기 아닐까요? 만약 금리가 떨어지면 집 값이 떨어질까요?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면 경제 구조를 모르는 겁니다. 자산의 가치는 금리가 내릴 경우 상승하게 되어있어요. 왜냐하면 금리가 내린다면 시장에 돈이 풀린다는 이야기거든요. 돈이 풀리면 시장에 자산 흐름이 풀리겠지요. 그럼 아파트, 주식 등의 가격은 다시 대세 상승장을 형성하게 될 것입니다. 금리가 올랐어요. 그럼 자산의 가치는 떨어졌을 것이에요. 그럼 내 집 마련이 숙제인 사람들은 언제 내 집을 마련하면 될까요? 간단하.. 2023. 1. 14.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6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