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노후 준비에 필요한 투자처인 IRP, 연금저축 상품에 대해서 공부 중입니다. 연금 저축 같은 경우는 보험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연금저축 보험, 은행에서 운영하고 있는 연금저축 신탁, 증권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연금저축 펀드 등이 있는데요. 공부하면서 주식, 부동산 그리고 보험을 노후 준비라고 생각하면서 연금처럼 운영하면 되는 거 아니야 라는 생각을 했는데 조금 다르더라고요. 그래서 연금에 대해서 자세히 공부해보고 저의 자산 포트폴리오에 연금 상품을 추가해보려고 합니다.
연금에 대한 기초공부를 위해 몇 개의 게시물을 작성하긴 했는데요. 혹시 관심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를 들어가서 구경 가셔도 좋을 것 같아요.
2021.09.16 - [투자] - 노후 준비를 위한 연금 공부 1탄
노후 준비를 위한 연금 공부 1탄
노후 준비를 위한 연금 공부 1탄 개인적으로 재테크와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 연금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경제 공부를 하면 할수록 연금저축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지
njobstory.tistory.com
2021.09.26 - [투자] - 평범한 직장인의 노후준비 연금 공부 2탄
평범한 직장인의 노후준비 연금 공부 2탄
지난 시간에 이어 연금에 대한 공부 내용을 정리해서 올립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연금에 대해 궁금한 부분들을 있어 해당 내용에 대해서 찾아서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끝까지 게시물을 읽
njobstory.tistory.com
세재 혜택
연금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가장 큰 이점은 세금공제 혜택을 준다는 내용입니다. 일단 다양한 투자채널 중에 연금만큼 세금공제를 크게 제공하는 투자채널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연 1회 연말정산을 진행하는데요. 이 연말 정산을 통해 세액 공제된 금액을 돌려받습니다. 연금 상품이 좋은 이유는 돌려받는 돈이 있기 때문이에요. 처음에는 이해가 잘 안 됐는데 주식으로 생각했을 때 배당주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더라고요. 물론, 배당주와는 개념이 다르지만, 세금공제 혜택으로 공제된 만큼의 금액을 배당금처럼 돌려받는 것이니 굉장히 훌륭한 상품인 것이지요. 매달 노후를 위해 차곡차곡 쌓아둔 돈이 매년 세액공제 혜택을 통해 매년 배당금을 준다는 것만으로도 이 투자 채널은 매력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IRP 세액공제 비율
IRP의 경우는 연 소득이 5500만원 이하인 사람은 16.5% 를 받을 수 있고 5500만 원 이상인 사람은 13.2%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총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700만 원을 채우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지만, 저희에게 중요한 건 비율인 것 같아요. 본인의 소득 요건에 맞춰서 세액공제 비율을 보시고 연말정산 시 혜택을 받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연금저축 세액공제 비율
연금저축도 IRP와 마찬가지로 소득에 따라 차등 공제 비율이 적용이 됩니다. 5500만 원 이하 그리고 5500만 원 초과 및 1.2억 원 이하 그리고 1.2억 원 초과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5500만 원 이하일 경우는 총 400만 원에서 16.5% 를 적용받습니다. 5500만 원~1.2억 사이도 400만 원에서 13.2%를 적용받습니다. 대신 1.2억을 초과한 고소득자의 경우는 300만 원에서 13.2%를 적용받아서 비교적 적게 세액공제가 잡히는 걸로 계산됩니다.
최대 700만원 납부 시 세제혜택 적용
IRP와 연금저축을 동시에 가입할 경우 최대 700만 원의 금액에서 세액공제가 들어가는데요. 중요한 건 본인의 여력이 IRP와 연금저축에 700만 원을 연간 납부를 하고 싶다면 IRP에 700만 원 모두 넣거나 연금저축에 400만 원을 넣고 IRP에 300만 원을 넣어서 최대 세금공제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두 상품 모두 장단점이 있지만, 본인의 여력이 연간 700만 원을 충분히 납부가 가능하다면 분산해서 넣어보는 게 효과가 좋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오늘은 연금에 대한 세재혜택에 대해서 알아본 내용을 정리해봤고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부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범한 직장인 재테크 공부를 하고 느낀점 (0) | 2021.10.14 |
---|---|
평범한 직장인의 연금저축펀드 IRP 공부 4탄 (0) | 2021.10.12 |
건강한 투자생활을 원한다면 가상화폐 투자는 비추천 (0) | 2021.10.07 |
평범한 직장인의 노후준비 연금 공부 2탄 (0) | 2021.09.26 |
부부 개미의 주식 포트폴리오 구성 팁 (0) | 2021.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