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이어 연금에 대한 공부 내용을 정리해서 올립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연금에 대해 궁금한 부분들을 있어 해당 내용에 대해서 찾아서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끝까지 게시물을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연금 상품이 주식, 부동산보다 인기 없는 이유?
주식, 부동산 같은 재테크 공부를 하다 보면 쉽게 놓치는 분야가 연금인 것 같습니다. 연금이 주식, 부동산만큼 인기를 끌지 못할까 생각해보면, 연금은 주식, 부동산처럼 바로 당장의 수익성을 낼 수 없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연금으로 수익이 나온다?
연금은 주식, 부동산만큼은 아닐지라도 정해진 정도의 일정 수익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정확히 말하자면 수익이 아니라 세액공제 혜택인 것이지요. 연금저축이나 퇴직연금과 같은 연금 상품들은 가입을 해놓고 일정 부분 납부를 한다면 세액공제로 13~16% 정도의 연말 세액공제가 나옵니다. 주식으로 표현하면 고정 금액의 연 13~16% 배당금이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엄청나죠? 연금저축 상품을 공부하다 보면 연금을 납입했을 때 정부에서 제공하는 세재혜택이 너무나 매력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IRP), 연금저축으로 매년 고정 수익을 만들어라!
IRP는 최대 연 700~900만원 한도 내에서 세액공제 적용을 받습니다. 13.2% 정도를 공제해줍니다. 그럼 115만 원에서 148만 원 정도를 공제받게 되는데 어떻게 보면 매년 한도 내에 금액을 납부했을 때 115~148만 원 정도의 수익이 나온다고 보시면 되겠네요.
연금은 노후 준비에 최적화 되어있다.
돈을 버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그중에 노후 준비는 빼놓을 수 없는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 주식, 부동산 같은 경우는 시장 영향을 많이 받고 이런 영향에 맞춰서 대응해줘야 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연금 상품은 정말 안정적인 투자 채널입니다. 조금의 공부가 필요는 하지만 꾸준히 납부만 해도 55세 이후에 안정적으로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으니깐요. 55세 이후만 아니라 지급하는 내내 매 연도의 세액공제 혜택도 있습니다. 재테크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가장 까다롭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 연금저축 : 연 400만 원 까지 세액공제 적용, 16.5% 공제율, 최대 60만 원 지급
- IRP : 연 700만 원 까지 세액공제 적용, 13.2% 공제율, 최대 115.5만 원 지급
가입 대상자가 어떻게 되나요?
IRP는 소득이 있는 사람만 적용된다면, 연금저축은 누구나 가입이 가능합니다.
만약 둘 다 한도를 채우면 어떻게 되나요?
두 계좌 모두 1,800만 원 납입 한도는 동일합니다. 하지만 세액공제를 적용받는 금액 기준으로 연금 저축은 400만 원이고 IRP는 700만 원까지 한도가 있습니다. 그리고 한도는 공유가 된다고 하네요. 만약 연금저축에서 300만 원을 납부했다면 IRP에서 400만 원정도까지 한도가 발생합니다. IRP는 DC형이나 DB형을 가입했든 IRP계좌를 생성해야 합니다. 매년 700만 원 한도에서 13.2%의 세액 공제 혜택을 줍니다. (급여에 따라 세액 공제 적용율이 달라집니다.) 연금 저축의 경우는 400만 원 한도에서 16.5%를 돌려 받습니다. 이것 뿐만 아니라 과세 이연 혜택도 있다고 하네요. 아무튼 IRP는 700만원 연금저축은 400만원 한도 내에서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다는 것만 기억하세요.
IRP나 연금저축 펀드는 중도 인출되는지?
IRP의 단점은 중도해지를 하지 않고 꾸준히 납입해야만 혜택을 제대로 누릴 수 있습니다. 즉 중도인출이 안된다는 게 단점이지요. 하지만 연금저축 펀드는 세액공제를 받지 않았을 때 인출이 가능합니다.
IRP와 연금저축의 투자 상품 속성은 다르다?
투자 상품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연금저축 펀드는 100%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지만, IRP의 경우는 70% 안전자산과 30%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안전 자산은 국채나, 회사채, 예금이 되겠지요.
글 마무리하며.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 위해서 노후 준비라는 테마는 인생 사이클을 고려할 때 필수적인 사항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주식, 부동산 공부를 통해 현재의 자산증식도 좋겠지만 미래의 연금저축 상품에 대한 공부도 같이 병행해야 인생 전반의 포트폴리오를 꾸릴 수 있어 건강한 투자 생활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솔직히 아직 IRP나 연금 적축 상품을 가입한 건 없지만 조금씩 공부하면서 추후에는 다양한 연금 상품에 가입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만약 저처럼 인생 전반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싶다면 연금 상품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앞으로 연금에 대한 궁금한 부분과 사소한 정보를 꾸준히 정리해서 올릴 예정이오니 기대해주셨으면 좋겠네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부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P, 연금저축 공부 3탄 (0) | 2021.10.08 |
---|---|
건강한 투자생활을 원한다면 가상화폐 투자는 비추천 (0) | 2021.10.07 |
부부 개미의 주식 포트폴리오 구성 팁 (0) | 2021.09.22 |
투자 생활을 통해 중고차 값 벌게 된 사연 (0) | 2021.09.20 |
추석 이후 관심 가져야 할 주식 시장 3가지 (0) | 2021.09.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