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기록

성공방정식, 좋아하는 것을 끊임없이 해라

by V.jun 2023. 2. 7.
반응형

30대 중반 내가 가진 재능과 흥미, 관심을 실천해 볼 생각이다. 성공이라는 정의가 나는 평범한 사람으로 사회 속에서 사회에 체제에 순응한 체 한 명의 역할을 다 하는 것이 성공한 인생인 줄 알았다. 물론 그 정의가 틀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다른 선택지가 있다는 사실을 난 몰랐다. 책을 읽으면서 자수성가로 부자가 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깊숙하게 느끼는 것은 인생은 다 각자의 성공 방적식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한국 사회는 태어나는 즉시 산업화 경제 프레임에 갖히게 된다. 어쩌면 국가가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국민을 다스릴 수 있는 방식이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이 프레임을 정부가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국민의 대다수가 결정할 것이다. 이런 정책적, 사회적, 경제적인 것들이 복합적으로 엮여서 형성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이런 방식은 개인에게 공평한 기회와 방향성을 제공하지만 한편으로는 개인의 독창성과 개성을 살리기에는 넘어야할 허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런 허들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나는 이 허들을 넘는 것이 성공으로 가는 길에 지름길을 찾는 실마리라고 생각한다. 내가 찾아낸 성공 방정식은 개성, 관심, 장점, 좋아하는 흥미를 발전시켰을 때 그곳에서 시작한다는 것이다.

 

다만, 성공의 기준은 혼자서 좋아하면 안된다. 사회와 세상이 그것을 요구해야 된다는 것이다. 내가 좋아하는 것에서 의미를 찾아야 한다. 사회에서 요구하는지에 대한 의미가 중요하다. 이 차이가 크다. 만약 나의 관심사 흥미가 사회에서 요구하지 않는다면 그냥 오타쿠, 덕후라는 소리를 듣는 것에서 끝날 수 있다. 하지만 사회 쉽게 말해 대중이 그것을 요구하면 그 사람은 인플루언서가 될 수 있다. 

 

가장 리스크가 적으면서 사회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자신의 흥미와 관심을 찾아서 실천을 해보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에 의미를 전달 할 수 있도록 가공을 해서 전달을 해야 한다. 누구나 내가 좋아하는 일로 돈을 벌고 싶어 한다. 하지만, 돈을 벌기 위해서는 대중이 필요하다. 트래픽이 필요하다. 그렇기 위해서는 본인이 좋아하는 관심사에 대중이 알아챌 수 있는 소스를 녹여서 가공해야만 한다. 안 그럼 그 일로는 돈을 벌지 못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