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기록

두려움이 제공하는 성공의 원칙

by V.jun 2021. 10. 10.
반응형

두려움이 제공하는 성공의 원칙

20대 때 저는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걱정과 근심 속에서 저의 인생을 숨죽이며 살았던 것 같습니다. 지금 30대 초반이 되어 과거를 돌아보면, 실패를 두려워한 나머지 도전 정신이 없었고 과도하게 안전성만을 추구하지 않았나 생각해보게 됩니다. 사실 지금도 미래에 대한 두려움은 늘 존재하고 있습니다. 20대 때와 달라진 점은 이대로 두려움을 피해서 안정적인 것만을 추구하다가 인생이 망하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두려움을 직시하고 정면 돌파해보자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두려움을 구체화시켜라

두려움의 정도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동일한 패턴에서 발생되는 두려움일 지라도 사람마다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이고요. 저는 이런 두려움이라는 패턴을 긍정적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두려움이라는 감정에 구체화를 시키기로 결심을 했습니다. 저의 두려움 중 대부분은 결혼 이후에 막연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었습니다. 가장 가까이에는 앞으로 아이를 낫고 기르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 걱정과 염려가 가득 차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이겨내기 위해서 좀 더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추가적인 소득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 파이프라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회사 소득 외 추가 수익구조를 찾아보고 연구해서 구축하는 실천의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이렇게 구체적으로 두려움에 접근을 하다 보니 명확하진 않지만 실천 방향에 대해서는 구체화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두려움을 구체화를 시키다 보면, 당장 내가 할 수 있는 활동들이 생각나고 그것들을 소분화시켜서 액션 포인트를 짜는 것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인간은 두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 상황을 회피하거나 무시하려고만 합니다. 그렇게 하다 보면, 결국 두려움은 다른 방식으로 찾아올 것이고 준비가 안된 사람들은 이 두려움에 잠식되어 안타까운 선택들을 하곤 합니다. 두려움에 직면해서 하나씩 풀어가시기를 바랍니다. 구체화를 시킬 때 그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은 분명히 나올 것이라 믿습니다.

"두려움을 없애려면 그것에 이름을 붙여야 한다." <스타워즈 : 제국의 역습>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