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금 반환보증 보험이라고 네이버와 주택도시 보증 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보증보험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간단히 제 이야기를 하자면, 저는 현재 도봉구에 한 아파트에 전세로 살고 있습니다. 2년 만기가 완료되고 임대차 보호법으로 인해 계약갱신 청구건을 통해 5% 인상을 한 보증금으로 2년을 더 연장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아파트 전세 계약을 할 때, 전세보증보험 존재에 대해서 전혀모르고 있다가 갱신 시점에 알게 되어 부동산 계약 이후 셀프로 가입을 진행했습니다. 갱신 시점에는 공인중개사가 몰랐던 건지 아니면 알면서도 이야기를 안 해준 건지 모르겠는데 요즘은 공인중개사가 보증보험까지 처리를 해준다고 하네요. 만약 전세 계약 전이시면 공인중개사님한테 꼭 한 번 보증보험에 대해서 안내해 달라고 이야기해보셨으면 합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 이유
전세 보증금이 적은 돈이 아닙니다. 요즘은 전세가격이 매매 가격과 거의 맘먹을 정도로 비싼데요. 이번에 계약갱신 청구건이 끝나는 시점부터 아마 집주인들이 전세 보증금을 한꺼번에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니 전세금도 높아질 수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임대차 보호법이 존재하지만, 아직까지 임대인보다 임차인이 약자인 건 틀림이 없어요. 우리의 피같은 돈인 전세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서 전세 보증보험은 필수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처음부터 공인중개사에게 요청해서 가입할 수 있지만 저처럼 셀프로 가입해야만 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아서 내용을 공유합니다.
가입 방법(카카오, 네이버)
전세보증보험 가입방법을 찾아보니 네이버와 카카오 두 가지 채널에서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는 방법이 있더라고요. 저는 네이버를 통해서 가입을 했습니다. 가입 방법은 간단합니다. 모바일 네이버 앱에 접속해서 '전세보증보험'을 검색하시면 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금 반환보증이라는 화면이 나올 겁니다. 하단에 '예상 보증료 조회'와 '보증가입 신청'이라는 버튼이 있는데요 본인의 보증료를 확인하시려면 왼쪽에 있는 '예상 보증료 조회' 버튼을 클릭하시고, 직접 가입을 하시는 분들은 '보증가입 신청' 이라는 버튼을 눌러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보증가입 신청 버튼을 누르면 기본적인 조건들을 체크하는 화면으로 변경되구요. 차례대로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 단계가 서류 제출 단계인데요. 그 이전인 할인 대상자 여부를 체크하는 화면에서 할인 대상자로 소속되면 추가로 첨부해야 되는 서류가 더 발생됩니다. 저는 할인 대상자가 아니기 때문에 서류는 비교적 적게 제출을 했습니다.
제출 서류
할인 대상자가 아닌 경우는 확정일자부 임대차계약서, 전입세대 열람내역서(도로명), 전입세대 열람내역서(지번), 보증금 완납 영수증, 주민등록등본 딱 5 가지 서류만 제출하시면 됩니다. 간단하쥬? 서류를 제출 한 뒤에 길게는 일주일 정도의 서류 검토 기간이 있습니다. 서류 검토 후 추가 보완 서류에 대해서도 잘 설명해주니 꼭 해당 페이지를 모니터링하시기를 추천합니다. 주민센터에서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서류는 1개월 이내에 서류들만 해당이 되고요. 과거에 출력해놓은 서류가 있다면 꼭 날짜를 확인하시고 제출하시기를 바랍니다.
'일상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사 준비생이 흔히 하는 실수 3가지 (0) | 2022.05.02 |
---|---|
등산 초보가 꼭 구입해야 되는 아이템 3가지 (0) | 2022.04.29 |
퇴사하기로 결심했습니다. (0) | 2022.04.29 |
난 천천히 부자가 되기로 결심했다. (0) | 2022.01.05 |
근로자 삶을 청산하고 부자가 되고 싶습니다. (0) | 2021.12.27 |
댓글